맨위로가기

세 가지 색: 블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 가지 색: 블루는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의 1993년 영화로, 교통사고로 남편과 딸을 잃은 쥘리가 고통스러운 현실에서 벗어나려는 과정을 그린다. 쥘리는 자살 시도 후 남편의 유작을 파기하고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 하지만, 과거의 그림자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다. 영화는 자유를 주제로, 쥘리가 진정한 사랑을 통해 슬픔을 극복하고 새로운 삶을 찾아가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 영화 - 세 가지 색: 레드
    세 가지 색: 레드는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의 《세 가지 색》 3부작 마지막 작품으로, 스위스 제네바에서 우연히 만난 은퇴 판사와 여대생 발렌틴의 교류를 통해 인물 간 관계와 심리, 법과 도덕에 대한 성찰을 빨간색을 활용하여 표현한다.
  •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 영화 - 카메라 버프
    《카메라 버프》는 1970년대 후반 폴란드를 배경으로, 8mm 카메라를 얻은 공장 노동자가 아마추어 영화 제작에 빠지면서 영화 제작 열정이 개인과 주변에 미치는 영향과 공산주의 사회 검열, 예술가의 사회적 책임을 탐구하는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의 1979년 폴란드 영화이다.
  • 스위스의 드라마 영화 - 모노스
    《모노스》는 알레한드로 란데스 감독의 콜롬비아 영화로, 남미 외딴 산악 지대를 배경으로 가명으로 불리는 10대 특공대원 '모노스' 부대와 그들이 감시하는 미국인 엔지니어 '라 독토라'의 이야기를 다루며, 콜롬비아 분쟁 속 청춘의 고립과 폭력성을 탐구하고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스위스의 드라마 영화 - 코러스 (2004년 영화)
    2004년 개봉한 프랑스 영화 코러스는 실패한 음악가 클레망 마티유가 문제아 기숙학교에서 아이들에게 합창을 가르치며 희망을 주는 내용으로, 크리스토프 바라티에 감독, 제라르 쥐노, 장-바티스트 모니에 등이 출연했으며 프랑스 앨범 차트 1위,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오르는 등 흥행에 성공했다.
  • 폴란드의 드라마 영화 - 피아니스트 (2002년 영화)
    로만 폴란스키 감독의 영화 《피아니스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의 박해를 피해 생존하려는 폴란드계 유대인 피아니스트 브와디스와프 슈필만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아드리언 브로디가 주연을 맡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과 아카데미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폴란드의 드라마 영화 - 램 (영화)
    2021년 개봉한 아이슬란드 영화 《램》은 딸을 잃은 부부가 인간과 양의 혼종인 아다를 딸처럼 키우면서 벌어지는 기묘하고 비극적인 이야기를 그린 발디마르 요한손 감독의 드라마 작품이다.
세 가지 색: 블루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랑스 극장 개봉 포스터
프랑스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Trois couleurs: Bleu
한국어 제목세 가지 색: 블루
프랑스어 제목Trois couleurs: Bleu
폴란드어 제목Trzy kolory: Niebieski
일본어 제목トリコロール/青の愛 (토리코로루/아오노아이)
감독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각본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크쥐시토프 피에시에비치
아그니에슈카 홀란트
제작마린 카미츠
주연쥘리에트 비노슈
브누아 레장
엘렌 뱅상
플로랑스 페르넬
샬로트 베리
에마뉘엘 리바
촬영스와보미르 이드지악
편집자크 비타
음악즈비그니에프 프라이스너
제작사mk2 Productions SA
CED Productions
France 3 Cinéma
CAB Productions
TOR Studio Production
Canal+
배급사mk2 Diffusion (프랑스)
Rialto Film (스위스)
개봉일프랑스/스위스: 1993년 9월 8일
바르샤바: 1993년 10월 10일
대한민국: 1994년 4월 23일
일본: 1994년 7월 9일
상영 시간94분
제작 국가프랑스
폴란드
스위스
언어프랑스어
흥행 수익$150만

2. 줄거리

유명 프랑스 작곡가 파트리스 드 쿠르시의 아내 쥘리는 남편과 다섯 살 된 딸을 자동차 사고로 잃고 자신은 살아남는다. 병원에서 회복 중 자살을 시도하지만 실패한다. 퇴원 후, 남편의 작품 상당 부분을 함께 썼다고 여겨지는 쥘리는 남편의 작품을 모두 파기한다. 그녀는 자신을 존경해 온 남편의 협력자 올리비에와 잠자리를 한 후 작별을 고하고, 가족의 집을 팔아 무페타르 거리 근처의 파리 아파트로 이사한다. 그녀의 유일한 기념품은 딸의 소유였을 것으로 보이는 파란 구슬 모빌이다.

쥘리는 과거의 삶에서 벗어나 알츠하이머병을 앓고 있는 어머니에게조차 알아보지 못한다. 남편의 마지막 의뢰 작품인 냉전 종식 후 유럽 통합을 기념하는 미완성 악보를 찾아내 파기하지만, 그 음악의 발췌문은 계속해서 그녀를 괴롭힌다.

익명으로 혼자 살고 싶어하는 그녀의 바람에도 불구하고, 쥘리는 곧 자신의 과거와 마주하게 된다. 사고를 목격한 소년은 사고 현장에서 발견된 십자가 목걸이를 건네고, 이웃 스트리퍼 뤼실과 친구가 된다. 쥘리는 뤼실이 일하는 피갈 클럽에서 올리비에가 텔레비전 인터뷰를 하는 것을 보게 되는데, 그는 유럽 작품의 사본을 보관하고 자신이 직접 완성할 계획이라고 밝힌다. 쥘리는 파트리스가 다른 여자와 함께 있는 사진을 보게 된다.

쥘리는 올리비에에게 유럽 작품에 대해 따져 묻고 파트리스와 함께 있던 여자에 대해 묻는다. 그녀는 변호사이자 파트리스의 정부인 샌드린을 찾아내고, 그녀가 그의 아이를 임신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쥘리는 아직 팔리지 않은 가족의 집을 샌드린에게 주도록 하고 아이의 친자 인정을 받도록 한다. 쥘리는 올리비에와 함께 작품 작업을 다시 시작하여 마지막 부분을 완성한다. 쥘리는 올리비에에게 전화를 걸어 쥘리도 크레딧에 포함되지 않으면 작품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 수 없다고 하자, 동의하고, 그녀를 여전히 사랑하는지 묻는다. 그는 그렇다고 답하고, 쥘리는 그를 만나러 간다.

완성된 ''유럽의 통합''의 일부가 연주되는데, 합창단과 그리스어로 노래하는 소프라노 독창이 포함되어 있다. 가사는 사도 바울이 고린도전서 13장에서 말한 신성한 사랑을 찬양한다. 쥘리의 행동이 영향을 미친 모든 사람들의 이미지가 보인다. 쥘리는 울다가 점차 미소를 짓기 시작한다.

3. 등장인물


  • 줄리엣 비노쉬 - 쥘리 드 쿠르시(née 비뇽)
  • 브누아 레장 - 올리비에 브누아
  • 플로랑스 페르넬 - 상드린
  • 샤를로트 베리 - 뤼실
  • 엘렌 뱅상 - 여기자
  • 필립 볼테르 - 부동산 중개인
  • 엠마뉘엘 리바 - 쥘리의 어머니, 마담 비뇽
  • 얀 트레구에 - 앙투안
  • 이자벨 사도얀 - 하녀
  • 줄리 델피 - 도미니크 (카메오)
  • 즈비그니에프 자마호프스키 - 카롤 카롤 (카메오)

3. 1. 주연


  • 줄리엣 비노쉬 - 쥘리 드 쿠르시(née 비뇽)
  • 브누아 레장 - 올리비에 브누아
  • 플로랑스 페르넬 - 상드린
  • 샤를로트 베리 - 뤼실
  • 엘렌 뱅상 - 여기자
  • 필립 볼테르 - 부동산 중개인
  • 엠마뉘엘 리바 - 쥘리의 어머니, 마담 비뇽
  • 얀 트레구에 - 앙투안
  • 이자벨 사도얀 - 하녀
  • 줄리 델피 - 도미니크 (카메오)
  • 즈비그니에프 자마호프스키 - 카롤 카롤 (카메오)

3. 2. 카메오


  • 엠마뉘엘 리바
  • 줄리 - 줄리엣 비노쉬
  • 올리비에 - 브누아 레장
  • 저널리스트 - 엘렌 방상
  • 줄리의 어머니 - 엠마뉘엘 리바

4. 제작

''세 가지 색: 블루''는 프랑스 회사인 CED 프로덕션, 유리지, 프랑스 3 시네마, MK2 프로덕션, 스위스 회사 CAB 프로덕션, 폴란드 회사 Studio Filmowe TOR의 국제 공동 제작 작품이다. 주요 촬영은 1992년 9월 7일에 시작하여 1992년 10월에 촬영이 완료되었다.[7]

다른 3부작 영화와 마찬가지로, ''블루''는 제목에 대한 시각적 암시를 자주 사용한다. 수많은 장면이 파란색 필터 또는 파란색 조명으로 촬영되었고, 많은 물건이 파란색이다. 쥘리가 파괴하려 했던 악보에 대해 생각할 때 파란색 빛이 화면을 압도한다. 이 영화는 또한 키에슬로프스키의 3부작에 영감을 준 삼색기의 색상에 대한 몇 가지 언급을 포함한다. 여러 장면은 붉은색 빛이 지배적이며, 한 장면에서는 붉은색 튜브를 착용한 흰색 수영복을 입은 아이들이 파란색 수영장에 뛰어든다. 또 다른 장면은 3부작의 다음 영화와 연결된다. 변호사 상드린, 즉 남편의 정부를 발견한 쥘리는 폴란드의 주요 인물인 카롤이 헤어진 프랑스인 아내 도미니크와 이혼하는 법정에 들어가는 모습이 보인다. ''화이트''

4. 1. 연출

''세 가지 색: 블루''는 프랑스 회사인 CED 프로덕션, 유리지, 프랑스 3 시네마, MK2 프로덕션, 스위스 회사 CAB 프로덕션, 폴란드 회사 Studio Filmowe TOR의 국제 공동 제작 작품이다. 주요 촬영은 1992년 9월 7일에 시작하여 1992년 10월에 완료되었다.[7]

다른 3부작 영화와 마찬가지로, ''블루''는 제목에 대한 시각적 암시를 자주 사용한다. 수많은 장면이 파란색 필터 또는 파란색 조명으로 촬영되었고, 많은 물건이 파란색이다. 쥘리가 파괴하려 했던 악보에 대해 생각할 때 파란색 빛이 화면을 압도한다. 이 영화는 또한 키에슬로프스키의 3부작에 영감을 준 삼색기의 색상에 대한 몇 가지 언급을 포함한다. 여러 장면은 붉은색 빛이 지배적이며, 한 장면에서는 붉은색 튜브를 착용한 흰색 수영복을 입은 아이들이 파란색 수영장에 뛰어든다. 또 다른 장면은 3부작의 다음 영화와 연결된다. 변호사 상드린, 즉 남편의 정부를 발견한 쥘리는 폴란드의 주요 인물인 카롤이 헤어진 프랑스인 아내 도미니크와 이혼하는 법정에 들어가는 모습이 보인다. ''화이트''

5. 분석

극히 주관적인 관점을 나타내기 위해 줄리의 캐릭터에 대한 가끔의 페이드 아웃과 페이드 인이 사용된다. 키에슬로프스키에 따르면 "어떤 순간에, 시간은 줄리에게 실제로 흘러가면서도 동시에 멈춰 있습니다. 그녀의 음악이 어느 시점에서 그녀를 괴롭힐 뿐만 아니라, 시간은 잠시 멈춰 있습니다".

스티븐 우드워드는 영화에 대한 상세한 분석에서 키에슬로프스키가 제목의 색상을 표현하는 상징성의 측면에서 다루는 독창성에 주목했다. 우드워드는 병원 장면에서 "파란 빛과 장례 음악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파란색은 슬픔과 우울함의 일반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음악 반주는 줄리가 멜로디에 대해 점점 더 어려움을 겪는 것을 강조하며, 이는 그녀에게 슬픔의 감정을 상기시킨다. 파란색의 상징성은 여주인공이 남편의 작품 소리를 잠재우기 위해 몸을 담그는 물이 채워진 수영장과 같은 소품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멜로디는 '여전히 흐르고' 슬픔의 감정은 잠재울 수 없으므로 줄리는 파란색으로 된 마지막 시퀀스에서 그것에 굴복한다."[8]

슬라보예 지젝은 '세 가지 색' 3부작에 사용된 슬로건 "자유, 평등, 박애"는 기독교 신학적 덕목인 믿음, 희망, 사랑과 분리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지젝에 따르면, 파란색은 자유와 사랑과 관련이 있다. "자유는 사랑, 즉 타인에 대한 사랑의 수용에 의해 뒷받침될 때만 진정한 해방이 된다(《블루》에서 줄리는 차갑고 추상적인 자유에서 타인을 사랑하는 진정한 자유로 나아간다)". 하지만 이 사랑은 특정한 차원을 띤다. 마지막 "성적인 행위는 줄리아가 깨달음을 얻는 과정에서 그녀 자신의 외로운 환상, 즉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실제로 없는 꿈과 같은 사건으로 연출된다." 슬로베니아 정신 분석학자는 또한 줄리가 오랫동안 남편의 이상화된 기억을 숭배해 왔으며, 이는 결혼 불륜 소식으로 인해 방해받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지젝에 따르면 《블루》는 "슬픔에 관한 영화가 아니라, 슬픔을 위한 조건을 만드는 영화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야 줄리는 슬픔을 극복하기 시작할 수 있다."[9]

엠마 윌슨은 《블루》를 프레데릭 제임슨의 철학적 개념의 내용을 반영하는 포스트모던 예술 작품으로 분석했다. 윌슨에 따르면, "이 영화는 매체의 잠재력을 질문하고 고통의 [...] 이미지의 암시적인 힘이 어떻게 대체되었는지를 보여준다."[10]

5. 1. 상징

극히 주관적인 관점을 나타내기 위해 줄리의 캐릭터에 대한 가끔의 페이드 아웃과 페이드 인이 사용된다. 키에슬로프스키에 따르면 "어떤 순간에, 시간은 줄리에게 실제로 흘러가면서도 동시에 멈춰 있습니다. 그녀의 음악이 어느 시점에서 그녀를 괴롭힐 뿐만 아니라, 시간은 잠시 멈춰 있습니다".

스티븐 우드워드는 영화에 대한 상세한 분석에서 키에슬로프스키가 제목의 색상을 표현하는 상징성의 측면에서 다루는 독창성에 주목했다. 우드워드는 병원 장면에서 "파란 빛과 장례 음악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파란색은 슬픔과 우울함의 일반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음악 반주는 줄리가 멜로디에 대해 점점 더 어려움을 겪는 것을 강조하며, 이는 그녀에게 슬픔의 감정을 상기시킨다. 파란색의 상징성은 여주인공이 남편의 작품 소리를 잠재우기 위해 몸을 담그는 물이 채워진 수영장과 같은 소품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멜로디는 '여전히 흐르고' 슬픔의 감정은 잠재울 수 없으므로 줄리는 파란색으로 된 마지막 시퀀스에서 그것에 굴복한다."[8]

슬라보예 지젝은 '세 가지 색' 3부작에 사용된 슬로건 "자유, 평등, 박애"는 기독교 신학적 덕목인 믿음, 희망, 사랑과 분리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지젝에 따르면, 파란색은 자유와 사랑과 관련이 있다. "자유는 사랑, 즉 타인에 대한 사랑의 수용에 의해 뒷받침될 때만 진정한 해방이 된다(《블루》에서 줄리는 차갑고 추상적인 자유에서 타인을 사랑하는 진정한 자유로 나아간다)". 하지만 이 사랑은 특정한 차원을 띤다. 마지막 "성적인 행위는 줄리아가 깨달음을 얻는 과정에서 그녀 자신의 외로운 환상, 즉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실제로 없는 꿈과 같은 사건으로 연출된다." 슬로베니아 정신 분석학자는 또한 줄리가 오랫동안 남편의 이상화된 기억을 숭배해 왔으며, 이는 결혼 불륜 소식으로 인해 방해받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지젝에 따르면 《블루》는 "슬픔에 관한 영화가 아니라, 슬픔을 위한 조건을 만드는 영화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야 줄리는 슬픔을 극복하기 시작할 수 있다."[9]

엠마 윌슨은 《블루》를 프레데릭 제임슨의 철학적 개념의 내용을 반영하는 포스트모던 예술 작품으로 분석했다. 윌슨에 따르면, "이 영화는 매체의 잠재력을 질문하고 고통의 [...] 이미지의 암시적인 힘이 어떻게 대체되었는지를 보여준다."[10]

5. 2. 슬라보예 지젝의 해석

슬라보예 지젝은 '세 가지 색' 3부작에 사용된 슬로건 "자유, 평등, 박애"는 기독교 신학적 덕목인 믿음, 희망, 사랑과 분리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9] 지젝에 따르면, 블루는 자유와 사랑과 관련이 있다. "자유는 사랑, 즉 타인에 대한 사랑의 수용에 의해 뒷받침될 때만 진정한 해방이 된다(《블루》에서 줄리는 차갑고 추상적인 자유에서 타인을 사랑하는 진정한 자유로 나아간다)".[9] 하지만 이 사랑은 특정한 차원을 띤다. 마지막 "성적인 행위는 줄리아가 깨달음을 얻는 과정에서 그녀 자신의 외로운 환상, 즉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실제로 없는 꿈과 같은 사건으로 연출된다."[9] 슬로베니아 정신 분석학자는 또한 줄리가 오랫동안 남편의 이상화된 기억을 숭배해 왔으며, 이는 결혼 불륜 소식으로 인해 방해받았다고 말했다.[9] 따라서 지젝에 따르면 《블루》는 "슬픔에 관한 영화가 아니라, 슬픔을 위한 조건을 만드는 영화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야 줄리는 슬픔을 극복하기 시작할 수 있다."[9]

5. 3. 포스트모던적 관점

줄리의 캐릭터에 대한 가끔의 페이드 아웃과 페이드 인은 극히 주관적인 관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키에슬로프스키에 따르면 "어떤 순간에, 시간은 줄리에게 실제로 흘러가면서도 동시에 멈춰 있습니다. 그녀의 음악이 어느 시점에서 그녀를 괴롭힐 뿐만 아니라, 시간은 잠시 멈춰 있습니다".

스티븐 우드워드는 키에슬로프스키가 제목의 색상을 표현하는 상징성의 측면에서 다루는 독창성에 주목했다. 우드워드는 병원 장면에서 "파란 빛과 장례 음악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파란색은 슬픔과 우울함의 일반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음악 반주는 줄리가 멜로디에 대해 점점 더 어려움을 겪는 것을 강조하며, 이는 그녀에게 슬픔의 감정을 상기시킨다. 파란색의 상징성은 여주인공이 남편의 작품 소리를 잠재우기 위해 몸을 담그는 물이 채워진 수영장과 같은 소품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멜로디는 '여전히 흐르고' 슬픔의 감정은 잠재울 수 없으므로 줄리는 파란색으로 된 마지막 시퀀스에서 그것에 굴복한다."라고 언급했다.

슬라보예 지젝은 '세 가지 색' 3부작에 사용된 슬로건 "자유, 평등, 박애"는 기독교 신학적 덕목인 믿음, 희망, 사랑과 분리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지젝에 따르면, 파란색은 자유와 사랑과 관련이 있다. "자유는 사랑, 즉 타인에 대한 사랑의 수용에 의해 뒷받침될 때만 진정한 해방이 된다(《블루》에서 줄리는 차갑고 추상적인 자유에서 타인을 사랑하는 진정한 자유로 나아간다)". 하지만 이 사랑은 특정한 차원을 띤다. 마지막 "성적인 행위는 줄리아가 깨달음을 얻는 과정에서 그녀 자신의 외로운 환상, 즉 다른 사람과의 접촉이 실제로 없는 꿈과 같은 사건으로 연출된다." 슬로베니아 정신 분석학자는 또한 줄리가 오랫동안 남편의 이상화된 기억을 숭배해 왔으며, 이는 결혼 불륜 소식으로 인해 방해받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지젝에 따르면 《블루》는 "슬픔에 관한 영화가 아니라, 슬픔을 위한 조건을 만드는 영화이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야 줄리는 슬픔을 극복하기 시작할 수 있다."

엠마 윌슨은 《블루》를 프레데릭 제임슨의 철학적 개념의 내용을 반영하는 포스트모던 예술 작품으로 분석했다. 윌슨에 따르면, "이 영화는 매체의 잠재력을 질문하고 고통의 [...] 이미지의 암시적인 힘이 어떻게 대체되었는지를 보여준다."

6. 평가

''세 가지 색: 블루''는 영화 평론가들로부터 광범위한 찬사를 받았다.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 이 영화는 57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96%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8.6/10이다. 웹사이트의 비평가들의 컨센서스는 "''세 가지 색: 블루''는 크쥐시토프 키에슬로프스키 감독/공동 작가의 시각적으로 가장 눈길을 사로잡고, 감정적으로 공감되는 작품 중 일부를 담고 있으며, 줄리엣 비노쉬의 뛰어난 연기를 자랑한다."[11] 메타크리틱은 가중 평균을 사용하여 11명의 비평가를 기준으로 100점 만점에 87점을 부여하여 "보편적인 찬사"를 받음을 나타냈다.[12]

오스틴 크로니클(The Austin Chronicle)의 마조리 바움가르텐은 "''블루''는 마음을 사로잡고, 감각에 도전하며, 해결을 간청하고, 미적 우아함과 형식적 우아함으로 좋은 이야기와 정치적 알레고리를 전달하는 영화이다."[13] 가디언(The Guardian)의 데릭 말콤은 "''블루''는 비극에서 벗어나 거의 거부하지만, 결국 제공되는 유일한 진정한 사랑을 받아들이는 영화의 중심 여성에 대한 강렬하고 감동적인 찬사로 남아있다."[14]


  • 9위 – 제임스 베라디넬리, ''ReelViews''[15]

6. 1. 수상

베니스 국제 영화제에서 1993년 황금사자상, 볼피 컵 여우주연상(줄리엣 비노쉬), 황금 오젤라 (스와보미르 이지악)를 수상했다.[16] 세자르상에서는 1993년 여우주연상 (줄리엣 비노쉬), 음향상, 편집상을 수상했다.[17] 골든 글로브상에서는 드라마 부문 여우주연상 (줄리엣 비노쉬, 후보)과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18]

고야상 최우수 유럽 영화상을 수상했으며, 굴드바게상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후보에 올랐다.[19] 시카고 국제 영화제에서는 1993년 특별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20]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에서는 1993년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 2위에 올랐다.[21]

2007년 ''가디언'' 독자 투표에서 "역대 가장 위대한 외국 영화 40편" 중 29위에 선정되었고,[22] BBC Culture가 선정한 2018년 "가장 위대한 외국어 영화 100편" 중 64위에 올랐다.[23]

7. 사운드트랙


8. 한국어 더빙 성우진

8. 1. KBS (1996년 4월 28일)

송도영은 줄리(줄리엣 비노쉬) 역을, 장정진은 올리비에(베누아 레전트) 역을 맡았으며, 이근욱, 강연숙, 한수경, 김새영, 김정애, 이봉준, 윤병화, 김민석, 문일옥 등이 출연하였다.

8. 2. SBS (2003년 12월 31일)

참조

[1] 웹사이트 Three Colors: Blue (1993) https://www.boxoffic[...] 2024-09-24
[2] Featurette A Look at Blue The Criterion Collection 2011-11-15
[3] 서적 Kieślowski on Kieślowski Faber & Faber
[4] 웹사이트 Krzysztof Kieslowski's Acclaimed Films http://www.theyshoot[...] 2016-10-22
[5] 웹사이트 Votes for Three Colours Blue (1993) http://www.bfi.org.u[...] British Film Institute 2016-10-17
[6] 뉴스 THEATRE Mort de l'acteur Benoît Régent Un blond fait pour la nuit https://www.lemonde.[...] 1994-10-25
[7] 웹사이트 Blue https://www.tcm.com/[...]
[8] 간행물 Blue on Second Thought https://www.tandfonl[...]
[9] 서적 The Fright of Real Tears: Krzystof Kieslowski Between Theory and Post-Theory British Film Institute
[10] 간행물 Three Colours: Blue: Kieslowski, colour and the postmodern subject https://doi.org/10.1[...] 1998-12-01
[11] 웹사이트 Three Colors: Blue https://www.rottento[...] 2024-09-24
[12] 웹사이트 Three Colors: Blue https://www.metacrit[...] 2023-06-18
[13] 뉴스 Movie Review: Blue https://www.austinch[...] 2007-05-21
[14] 뉴스 Three Colours: Blue review https://www.theguard[...] 2014-11-03
[15] 웹사이트 Rewinding 1994 -- The Year in Film https://preview.reel[...] 2020-07-19
[16] 웹사이트 Three Colors: Blue https://nwfilm.org/f[...] 2020-12-08
[17] 웹사이트 19th César Awards https://www.allocine[...] 2022-10-06
[18] 웹사이트 Winners & Nominees 1994 https://www.goldengl[...] Golden Globe Awards 2022-10-06
[19] 웹사이트 Three Colors Blue (1993) http://www.sfi.se/en[...] 2014-03-23
[20] 웹사이트 Chicago Film Festival 1995 https://mubi.com/awa[...]
[21] 뉴스 'Schindler', 'Piano' top L.A. critics' awards https://www.baltimor[...] 2022-10-06
[22] 뉴스 As chosen by you...the greatest foreign films of all time https://www.theguard[...] 2007-05-11
[23]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foreign-language films https://www.bbc.com/[...] 2021-01-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